1. 정보와 데이터
데이터
- 인간이나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실제 생활의 많은 일들을 간단히 문자, 숫자, 기호 등으로 표현.
정보
- 특정 목적을 위해 의미를 부여한 데이터
즉, 데이터를 가공하면 정보가 됨
2. 정보 통신
1) 정의
- 정보 생산자로부터 그 정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행위.
2) 정보 통신의 3대 목표
- 정확성
- 효율성
- 보안성(무결성, 기밀성, 가용성)
3) 정보 통신의 3요소
- 송신자
- 수신자
- 전송 매체
3. 프로토콜
1) 프로토콜의 정의
-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해 각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규칙
※ 언어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.
ex) 영어 = 영어는 소통이 되는데, 영어 = 불어는 소통이 어렵죠.
2) 프로토콜의 3요소
- Syntex
- Semantics
- Timing
3) 프로토콜의 기능
- 주소지정 : 하나의 개체가 상대 개체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상대의 이름을 알아야 함
출발(source ip address) - > 도착(destination ip address)
- 순서지정 :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전송될 때 보내지는 순서를 명시하는 기능
- > 연결지향형에만 사용
순서에 맞는 전달, 흐름제어, 오류제어를 위해 순서를 지정한다.
- 단편화와 재조합 : 개체 사이 대용량 데이터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의 경우 블록을 분할하여 전송
즉, 전송할 데이터를 쪼개고 합치는 것
※ MTU(Maximum Transfer Unit) - 한번에 최대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 양. 1500 byte
- > 연결지향형에만 사용
순서에 맞는 전달, 흐름제어, 오류제어를 위해 순서를 지정한다.
- 단편화와 재조합 : 개체 사이 대용량 데이터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의 경우 블록을 분할하여 전송
즉, 전송할 데이터를 쪼개고 합치는 것
※ MTU(Maximum Transfer Unit) - 한번에 최대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 양. 1500 byte
- 흐름제어 : 수신 측 시스템에서 받은 데이터의 양, 속도를 제어
- 연결제어 : 프로토콜의 연결 설정에 있어서의 구문, 의미, 시간을 제어하는 것
- 캡슐화 : 송신자와 수신자 주소, 오류 검출 코드,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덧붙이는 것
- 오류제어 : 데이터 교환 시 오류 발견 기법(전송 프레임 끝부분에 오류제어코드가 삽입된다)
- 전송서비스 : 우선 순위 결정, 서비스 등급과 보안 요구 등의 제어 서비스
- 동기화 : 양 개체간 데이터 전송 시 타이머 값, 윈도우 크기등의 인자값
- 멀티 플랙싱 : 하나의 통신 선로에서 다중 시스템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기법
4) 프로토콜의 전송 방식
비트 방식 - 특별한 의미를 갖는 플래그 비트를 데이터의 앞이나 뒤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식
바이트 방식 - 데이터의 헤더에 각종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식
문자 방식 - 특수 제어 문자(STX, ETX, DLE 등)를 사용하는 방식
참고 & 출처 : i2sec Network 교재
- 연결제어 : 프로토콜의 연결 설정에 있어서의 구문, 의미, 시간을 제어하는 것
- 캡슐화 : 송신자와 수신자 주소, 오류 검출 코드,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덧붙이는 것
- 오류제어 : 데이터 교환 시 오류 발견 기법(전송 프레임 끝부분에 오류제어코드가 삽입된다)
- 전송서비스 : 우선 순위 결정, 서비스 등급과 보안 요구 등의 제어 서비스
- 동기화 : 양 개체간 데이터 전송 시 타이머 값, 윈도우 크기등의 인자값
- 멀티 플랙싱 : 하나의 통신 선로에서 다중 시스템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기법
4) 프로토콜의 전송 방식
비트 방식 - 특별한 의미를 갖는 플래그 비트를 데이터의 앞이나 뒤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식
바이트 방식 - 데이터의 헤더에 각종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식
문자 방식 - 특수 제어 문자(STX, ETX, DLE 등)를 사용하는 방식
참고 & 출처 : i2sec Network 교재
'Computer Security > Network(802.3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네트워크 / Network / 유선 / 802.3 ] 핑(ping) 에러 메시지 (0) | 2011.03.11 |
---|